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아프리카 지식정보
  • KAF 자료실
  •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리포트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리포트

[이집트] 이집트 인스타페이, 디지털 금융 혁신 확산

관리자 / 2025-05-23 오전 12:10:00 / 58

이집트 중앙은행(Central Bank of Egypt, CBE)은 2022년 3월 디지털 실시간 결제 플랫폼인 인스타페이(InstaPay)를 출시하며 현금 중심 사회에서 디지털 금융으로의 전환을 공식화했다. 이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금융 접근성이 낮은 계층을 포함한 전 국민을 위한 포괄적 금융 시스템 구축, 즉 금융 포용(financial inclusion)을 국가 전략 차원에서 본격 추진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이집트 디지털 전환의 상징, 실시간 송금 앱 인스타페이

인스타페이는 국가 실시간결제망(Instant Payment Network, IPN) 을 기반으로 은행-카드-전자지갑 간의 즉시 송금 서비스를 연중무휴 제공한다. 단순한 결제 앱을 넘어, 모든 사회 구성원이 쉽고 안전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포용적 시스템이다.

 

2024년 말 기준 인스타페이 이용자는 1,250만 명을 돌파했으며, 약 2.9조 이집트파운드(EGP, 약 583억 달러)의 거래가 발생했다. 이는 인스타페이가 일상 속 결제 수단으로 널리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CBE는 2025년 1월부터 전자이체 수수료를 면제해 디지털 접근성이 낮은 저소득·농촌 계층의 이용 확대를 유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적 인센티브는 금융 포용률을 올리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실제로 2016년 27%에 불과하던 이집트의 금융 포용률은 2024년 71%까지 급등했다.


인스타페이는 특히 농촌 지역과 비공식 부문에서 실질적 금융 접근성을 확대하고 있다. 소규모 상인, 임시직 종사자 등도 실시간 송금과 계좌 관리를 통해 현금 흐름과 경제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2025년 중에는 걸프 국가와의 해외 송금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인스타페이로 여러 은행 계좌를 실시간 관리하는 모습

이집트 정부는 인스타페이를 디지털 공공 인프라의 대표 사례로 발전시키고 있으며, 이는 아프리카연합과 G20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2024년 한국에서 열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도 인스타페이는 주요 혁신 사례로 소개되었고, 한국과의 핀테크 협력 가능성(API 공유, 사이버보안 표준화 등)도 활발히 논의 중이다. 한국의 ‘현금 없는 사회’ 구축 경험은 이집트의 정책 설계에 실질적 참고가 되고 있다.

 

물론 디지털 문해력, 개인정보보호 등 남은 과제도 있다. 하지만 인스타페이는 단순한 송금 앱을 넘어 국가 차원의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촉진제이자 금융 접근성 개선을 위한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스마트폰 기반의 직관적 인터페이스와 신뢰할 수 있는 운영 환경을 바탕으로, 이 조용한 기술 혁신은 이집트의 금융 구조를 재편하고 미래형 디지털 경제의 기반을 확장하는 중심축으로 성장하고 있다.

※ 해당 주제와 관련한 더 자세한 내용은 본 보고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