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아프리카 지식정보
  • KAF 자료실
  •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리포트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리포트

[소말리아] 소말리아의 디지털 전환전략: 위성인터넷, 모바일 금융, 디지털 신원확인

관리자 / 2025-05-24 오전 12:07:00 / 46

지난 10년간 소말리아는 통신 인프라 재건에 있어 비록 불균형적이긴 하지만 유의미한 진전을 이뤘다. 소말리아 국가통신청(National Communications Authority, NCA)에 따르면 2024년 초 기준으로 인터넷에 일상적으로 접근 가능한 소말리아 인구는 전체의 약 28%에 불과했으며, 성별, 연령, 지역별 격차가 두드러졌다. 소말리아 공공기관과 민간 통신사는 디지털 연결성이 사회경제적 회복과 국가 정통성의 기반이라는 인식 하에 위성, 모바일 금융 서비스, 디지털 신원확인 시스템과 같은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2025년 4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가 NCA로부터 운영허가를 취득해 소말리아 최초의 저궤도위성 인터넷 서비스로 발족했다. 따라서 기지국 없이 광대역 커버리지가 전국적으로 가능해졌으며, 스타링크는 2025년 말까지 유목민 지역, 농촌 지역 등을 포함해 소말리아 인구의 70%까지 인터넷을 보급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주된 장벽은 스타링크 장비의 가격과 구독 요금이 높다는 점이다. 다만, 초기 보급은 정부기관, 인도주의단체, 농업 협력 허브를 대상으로 하며, 인터넷 공유 사용을 통해 개인별 비용을 분담할 수 있다. 원격 의료 클리닉, 교육기관 등 앞선 사용자들은 운영효율 측면에서에서 극적인 개선을 보고했다.

 

2025년 3월 26일, 소말리아 중앙은행은 소말리아 QR 코드 표준을 기반으로 24시간 실시간 결제가 가능한 소말리아 즉시결제 시스템(Somalia Instant Payment System, SIPS)을 도입했다. SIPS는 결제 메시지를 표준화하고 지갑 제공업체와 상업은행 간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함으로써 고질적인 인프라 분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채택은 사기, 모바일 지급 탈취 등 높은 리스크를 수반한다. 이에 대응해 규제기관과 통신사는 음성인식과 OTP를 결합한 2단계 인증 프로토콜을 도입했다.

 

소말리아 연방정부와 주정부는 신뢰성이 떨어지는 신원증명서가 서비스 제공, 토지 등록, 선거 투명성을 저해한다는 점을 인식해, 세계은행의 개발을 위한 신원확인(Identification for Development, ID4D) 이니셔티브 지원을 받아 2025년 5월에 휴비예(HUBIYE) 검증 서비스, e-아쿤지(e-Aqoonsi) 모바일 앱, 인증서발급시스템을 도입했다. HUBIYE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양쪽을 대상으로 하는 API 기반 실시간 신원확인 서비스다. e-Aqoonsi 앱은 실물 신분증과 법적 효력이 동일한 디지털 신분증이다. 인증서발급시스템은 실물 신분증 발급, 추적관리, 교체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한 시스템이다.

 

사회경제적 영향 측면에서, 위성 인터넷과 모바일 결제 네트워크의 도입은 소말리아의 주요 도시와 지방 간의 격차를 좁히는 데 기여하고 있다. 수도권 바깥에서도 디지털 연결성이 실현되면서 원격 학습, 원격 의료, 전자 상거래가 가능해졌다. 디지털 신원확인 시스템은 정부 서비스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다만, 이 같은 본격적인 디지털 전환에 있어 3가지 과제가 남아 있다 첫 번째는 접근성으로, 단말기 등 장비의 가격이 높아 바우처나 보조금 제도 없이는 저소득 가구와 취약계층의 접근성이 떨어진다. 두 번째는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로, 인프라 구축 속도에 비해 교육 프로그램이 뒤처지고 있다. 세 번째는 성별 격차로, 문화적 관습과 안전 문제 때문에 여성의 공공 디지털 허브 이용이 제한되는 측면이 있다.

 

결론적으로 이 모든 성과는 소말리아의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분수령이 되고 있다. 위성 광대역 인터넷, 모바일 금융 보급, 디지털 신원확인 시스템이 복합적으로 도입됨으로써 포용적 성장, 거버넌스 개선, 민간부문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닦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진전이 국가 전체의 번영으로 이어지려면 이해관계자들은 접근성, 리터러시, 데이터 거버넌스 문제를 정책 조정과 맞춤형 프로그램 시행을 통해 해결할 필요가 있다.

※ 해당 주제와 관련한 더 자세한 내용은 본 보고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