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아프리카 지식정보
  • KAF 자료실
  •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리포트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리포트

[르완다] 르완다, 기후 스마트 농업(CSA)에 3억 3천만 달러 민간 투자 유치 계획

관리자 / 2025-06-20 오전 12:01:00 / 59

르완다 정부는 2025년 6월 18일, 지속가능하고 기후 친화적인 농업 기반 조성을 목표로 한 ‘기후 스마트 농업(Climate Smart Agriculture, CSA)’ 투자 계획을 공식 출범하고, 민간 부문으로부터 총 3억 3,5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CSA 투자 계획 출범식(출처: The New Times)

이번 CSA 계획은 르완다 농업축산부(Ministry of Agriculture and Animal Resources, MINAGRI), 르완다 그린펀드(Rwanda Green Fund, FONERWA), 국제금융공사(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가 공동으로 주도하며, 기후 변화로 인해 장기간 이어진 가뭄, 불규칙한 강수, 토양 황폐화 등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은 농가의 생계 회복과 생산성 증대를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르완다에서 농업은 인구 다수가 종사하는 핵심 산업으로, 국가 식량 안보와 경제 성장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마크 시우바히로 바가베(Mark Cyubahiro Bagabe) 르완다 농업축산부 장관은 이번 계획을 “농업 접근 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이라고 평가하며,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서는 신중하고 단계적인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바가베 르완다 농축산부 장관(출처: The New Times)

CSA 계획은 총 5개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1차 연도는 이해관계자 간 협의와 제도 기반 마련 등 사전 준비 단계로 운영되며, 2차 연도에는 시범 지역을 선정해 정책을 시험 적용할 계획이다. 이어 3차 연도부터는 모든 대상 지역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해 본격 시행에 들어가며, 4~5차 연도에는 사업의 성과 평가와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한 심층 검토가 진행될 예정이다.

 

투자 구조는 공공·민간 협력 기반의 다층적 접근 방식을 채택해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효과 극대화를 도모한다. 특히, 공공 부문은 제도적 지원과 초기 재원을 제공하고, 민간 부문은 기술과 추가 자본을 투입하는 위험 분담형 메커니즘을 적용한다. 아울러, 자금 운용 전 과정에서 성과 기반 지급 방식을 도입해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CSA 투자 계획 토론회(출처: The New Times)

르완다 정부는 이미 2024년부터 약 54억 달러를 투입해 5개년 농업 전환 전략 계획(Fifth Strategic Plan for Agriculture Transformation, PSTA 5)을 본격 추진하고 있으며, CSA 계획은 이러한 정부 주도의 농업 개혁을 보완하기 위해 민간 투자를 별도로 유치하는 방안으로 마련됐다. 이를 통해 17만 명 이상의 농민이 기후 변화 대응형 농업 기술과 재정 지원을 받게 되며, 약 8만 3천 헥타르에 달하는 경작지의 생산성 향상도 기대되고 있다.

 

주요 투자 분야는 농업 인프라(운송, 에너지, 디지털 연결망) 구축을 비롯해, 지속 가능한 농업 기술 확산, 농업 공급망 최적화, 농촌 경제 활성화, 중소기업 육성, 기후 회복력 기반 지역 개발 등이며, 도시와 농촌, 국경, 해안, 산악 지역을 모두 포괄하는 지역 맞춤형 전략이 병행될 예정이다.

 

CSA 계획은 향후 국제 기후 금융(Global Climate Finance)과도 연계될 계획이며, 375개 이상의 농업 관련 기업들이 기후 금융을 통한 지원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르완다 정부는 본 계획을 통해 직접 고용 10만 명 이상, 간접 수혜 가구 50만 곳 이상을 창출하고, 생산성 향상 및 신규 사업 창출을 통해 지역 GDP 3~5%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교육 및 보건 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통한 사회 불평등 완화와 인간 개발 지수 상승, 탄소 배출 저감 및 생물 다양성 보전 등 다층적이고 지속 가능한 효과를 도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해당 주제와 관련한 더 자세한 내용은 본 보고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