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초 기준으로 카메룬에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서 유입된 난민 약 332,000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는 서아프리카와 중아프리카 전역에 흩어진 676,000여 명의 난민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숫자이다. 이들 대부분은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 무장세력 간 분쟁, 인권침해, 공공서비스 붕괴 등으로 어쩔 수 없이 고향을 떠나 카메룬 동부와 아다마와(Adamawa), 북부 지역에 정착했다.
카메룬 지역사회는 거처와 자원을 공유하며 난민에 환대를 보여왔다. 그러나 난민들은 공식 캠프 외에도 비공식 정착지와 가정에 흩어져 거주하면서, 현지의 물과 보건, 교육 인프라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다.
2024년에는 약 47,000여 명의 난민이 카메룬 국가 의료보험을 통해 보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지만, 여전히 상당수는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다. 특히 일부 캠프에서는 성폭력, 아동 착취, 성적 학대 사례가 보고되고 있고, 난민 가정은 인도적 지원이나 근근이 입에 풀칠할 정도의 농사, 일용직 노동에 의존하고 있다. 카메룬 정부는 2005년 제정한 난민법에 따라 공식 취업을 허용하고 있으나, 실제로 접근하기에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
|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방기(Bangui)의 환승 센터에서 대기 중인 귀향 난민 가족 |
|
|
카메룬 사회가 전반적으로 난민을 환대하고 있다 할지라도, 물과 교육 등 공공자원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자 일부 지역에서는 긴장감이 돌고 있다. 정부는 UNHCR과 협력해 등록, 신분증 발급, 보건·교육 서비스 제공, 자발적 귀환 등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 주도의 재통합 프로그램은 지원, 지도, 예산 부족의 문제로 성과를 내지 못해 비판받고 있다. |
|
|
UNHCR 고등판무관(맨 오른쪽)과 만나는 귀향 난민과 지역 주민들 |
|
|
한국은 외교부와 KOICA를 통해 인도적 지원과 제도 역량 강화, 회복탄력성 제고를 도모하며 카메룬의 난민 대응 정책과 보조를 맞추고 있다. 2024년 7월, 한국은 KOICA를 통해 3,935만 달러를 지원해 응급의료, 주민등록 디지털화, 식수 접근성 향상, 디지털 행정 시스템 구축 등의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또한 2023년 11월에는 KOICA를 통해 1,400만 달러를 투입해 트라우마 치료와 응급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보건시설 개선에 나섰다. |
|
|
10년 만에 귀국을 앞두고 난민캠프에서 짐을 꾸리는 난민 |
|
|
전문가들은 향후 생체인식 등록 확대, 기술 훈련 프로그램, 물·위생·주거 인프라 통합 등을 통해 난민 통합이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카메룬 간 양자 협력이 이처럼 지속적으로 추진된다면, 카메룬의 난민 수용 역량을 제고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
|
|
※ 해당 주제와 관련한 더 자세한 내용은 본 보고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