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무역 질서를 흔드는 가운데, 말라위를 비롯한 아프리카 국가들이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받고 있다. 특히 수년간 아프리카 성장기회법(African Growth and Opportunity Act, AGOA)을 통해 설탕, 차, 가죽 제품 등을 미국에 무관세로 수출해오던 말라위는 이번 정책 변화로 인해 수출 기반이 크게 약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정부는 올해 아프리카 전역의 수출품에 대해 보편적 10% 관세를 도입하고, 미국이 지정한 ‘최악의 무역국’ 60개국에는 더 높은 ‘보복 관세’를 예고했다. 독일 개발지속성연구소(German Institute of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는 이번 관세 조치로 말라위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Sub-Saharan Africa)에서 가장 큰 피해국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 실제로 말라위의 총 수출이 -1.1%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별 피해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가죽 제품은 10-13% 수출 감소가 예상되며, 설탕은 보편 관세 적용 시 -2.73%, 보복 관세 적용 시 -4.24% 감소가 전망된다. 제조업 제품도 3~4% 감소가 예상되며, 담배 역시 주요 수출 품목으로 타격이 우려된다.
워싱턴 D.C. 소재 글로벌개발센터(Centre for Global Development)의 분석에 따르면, 말라위의 대미 주요 수출 품목인 담배, 차, 설탕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은 기존 17%에서 최대 27%까지 인상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조치는 말라위가 미국산 수입품에 평균 34%의 관세를 부과한 것에 대한 부분적 보복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정부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비툼비코 뭄바(Vitumbiko Mumba) 말라위 무역산업부 장관은 아직 공식 통보를 받지 못했으며, SNS를 통해 관세 소식을 처음 접했다고 밝혀 정책 대응의 한계를 드러냈다. 반면, 무역정책실무단 의장 프레데릭 찬가야(Frederick Changaya)는 말라위가 특혜협정에만 의존하지 말고, 부가가치 기반 산업 유치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외교에 휘둘리는 무역구조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도 말라위 정부에 미국 수입품에 대한 일부 관세를 인하하거나 철폐함으로써 협상 여지를 만들고, 투자 유치와 무역 다변화를 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동시에 비관세 장벽 해소, 산업 정책 개선 등도 병행할 것을 권고했다.
현재 말라위는 투자·무역청(Malawi Investment and Trade Centre)의 조율 아래 국가 수출 전략과 산업 정책을 운영하고 있으며, 정부는 동시에 새로운 무역정책을 마련 중이다. AGOA의 종료 예정 시점이 올 9월로 다가오는 가운데, 말라위에서는 외부의 결정에 흔들리지 않는 자립형 산업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번 사태는 관세가 무역을 넘어선 정치·경제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아프리카 국가들이 회복력 있는 무역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긴급성을 일깨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