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아프리카 지식정보
  • KAF 자료실
  •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활동 사항
아프리카대륙 통신원 활동 사항

[케냐] 韓-케냐, 원자력 연구 협력 위한 역사적 MOU 체결

관리자 / 2025-10-04 / 109

케냐와 한국이 원자력 연구·개발 협력을 위한 역사적인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아프리카 핵과학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번 MOU는 지난 9월 15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제69차 국제원자력기구(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총회에서 체결됐으며, 주한규 한국 원자력연구원 원장과 저스투스 와부야보(Justus Wabuyabo) 케냐 원자력발전·에너지청(Kenya's Nuclear Power and Energy Agency, NuPEA) 청장이 서명에 참여했다.

양해각서 체결 후 주한규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가운데 좌)과 

저스투스 와부야보 케냐 원자력발전·에너지청 청장(가운데 우)

협력의 핵심은 케냐 원자력 연구용 원자로(Kenya Nuclear Research Reactor, KNRR) 프로젝트로, 의학·농업·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과학 역량을 구축하고, 2034년까지 케냐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케냐는 인구 증가와 산업화로 전력 수요가 2050년까지 현재의 20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전력 설비 용량은 약 3,321MW로 지열·수력·풍력·태양광·화력발전에 주로 의존하고 있는데, 기후 변화로 인해 생산량이 불안정하며, 특히 수력발전이 기후 변동성에 매우 취약하다. 이에 따라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에너지원으로 원자력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케냐는 2000년대부터 원자력 계획을 추진해왔으며, 2023년 IAEA의 원자력 기반시설 종합검토(IAEA Integrated Nuclear Infrastructure Review, INIR-RR) 미션에서 연구용 원자로 건설 추진에 대한 준비성을 인정받았다. 이번 MOU는 케냐 원자력에너지청(Nuclear Power and Energy Agency, NuPEA)이 원자로 설계와 기술 교육, 규제 기준 수립, 대국민 참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연구용 원자로는 전력 생산 외에 의료, 농업, 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의료 분야에서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자체 생산해 암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물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농업 분야에서는 방사선 기술을 활용한 돌연변이 육종과 해충 방제를 통해 작물 수확량을 높일 수 있다. 산업 분야에서는 방사선 비파괴검사와 제품 인증 등으로 제조 품질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한국은 26기의 원전을 운영하며 세계적인 원자력 강국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원자력연구원은 원자로 설계와 안전성, 연구 성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한국과의 협력으로 케냐는 국제 안전 기준을 충족하면서도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번 MOU는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 현재 아프리카에서 원전을 운영하는 국가는 남아공이 유일하며, 이집트가 러시아와 함께 2028년 완공을 목표로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그러므로 케냐의 행보는 향후 다른 아프리카 국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 발전은 막대한 자금과 긴 준비 기간이 필요하므로, 케냐 원자력규제청(Kenya's Nuclear Regulatory Authority, KNRA)의 법적·기술적 역량 강화와 국민적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한국, 미국, 러시아 등 여러 핵기술 강국이 경쟁하는 가운데, 케냐가 핵기술 협력에서 주권을 지키고 외교적 독립성을 유지하려면 균형 외교가 필수적이다.

 

이번 MOU를 통해 케냐는 에너지 안보, 보건 혁신, 농업 효율화, 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국가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얻었다. 한국 역시 아프리카와의 협력을 심화시키는 전략적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케냐가 2034년 첫 원자력 발전소를 가동하기까지 이번 협력은 기술적 탁월성과 안전, 지속가능한 발전을 보장하는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해당 주제와 관련한 더 자세한 내용은 본 보고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