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3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행정명령 14257호에 서명하며 아프리카 교역 파트너국
한·아프리카재단 조사연구부가 매주 전하는 최신 아프리카 동향과 이슈
|
|
|
또 다른 난민으로 내몰릴 위기, 앙골라와 모잠비크의 귀환민 이야기
|
|
|
오늘날 난민 문제는 전쟁, 기후 위기, 정치·경제적 불평등 등과 같은 현대 사회의 불안 요소들을 수면위로 드러내며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우리는 ‘귀환(歸還)’ 역시 난민 문제를 구성하는 중요한 국면으로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귀환민은 난민으로서 타국에 머물다 본국의 상황이 개선되거나 양국의 정치·행정적 조치에 따라 본국으로 돌아간 이들을 말한다. 그들에게 귀환은 고향으로 돌아가 다시 삶을 재건할 기회가 될 수도 있지만, 또 다른 난민화의 시작이 될 수도 있다.
귀환의 현실은 우리의 상상보다 훨씬 무겁고, 때로는 절망적이기도 하다. 누군가의 귀환은 폐허가 되어 버린 자신의 집 앞에서 멈춰 서는 순간일 수 있고, 또 다른 누군가의 귀환은 자신에게 쏟아지는 고향의 차가운 시선과 맞닥뜨리는 순간일지도 모른다. 그들에게 귀환은 다시 시작되는 생존의 사투이며, 난민 생활의 끝이 아닌 또 다른 망명의 시작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그들은 종종 새로운, 그러나 결코 달갑지 않은 이름을 부여받거나, 주류 사회로의 진출을 거부당하고 별도의 거주지로 밀려나기도 한다.
|
|
|
랑가(Langa). 앙골라에서 랑가는 접경국인 콩고민주공화국(DRC)에서 온 사람들을 비하하며 부르는 말이다. 동시에, 이 표현은 한때 DRC로 망명했던 앙골라 귀환민을 향한 멸칭(蔑稱)으로도 사용된다. 즉, 귀환민에게 ‘랑가’라는 낙인은 앙골라인으로서 그들의 정체성을 지우고, ‘콩고에서 온 사람들’로 재규정하며 타자화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사회적 배제는 귀환민의 앙골라 사회 재통합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2025년 1월, 나는 앙골라의 수도 루안다(Luanda)의 빨랑카(Palanca)를 방문한 적이 있다. 이곳은 무쎄끄(Musseque)라고 불리는 대표적인 빈민촌 중 하나로 꼽히며, 치안 불안과 범죄 우려가 자주 제기되는 곳이다. 그곳은 비포장의 붉은 흙길 위에 군데군데 움푹 팬 웅덩이가 남아 있고, 쓰레기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기도 한 곳이다. 채 완성되지 못한 건물과 무너져버린 담장이 곳곳에 서 있었고, 그 틈새로 허름한 주택과 노점들이 뒤엉키듯 자리 잡고 있다. 내가 이곳을 방문하겠다고 할 때마다, 루안다 나의 지인들은 “위험하니 가지 않는 게 좋겠다”라거나 “나라면 절대 가지 않을 것”이라며 거듭 만류했다. 이곳 빨랑카는 오랜 내전을 겪고 도시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지역의 사람들이 모여 복잡한 사회·문화적 풍경을 형성해 왔다. 그리고 그 가운데는 랑가라는 이름의 사람들도 적지 않다.
같은 달, 빨랑카의 한 골목에서 나는 ‘랑가’라는 주홍 글씨를 지고 살아가는 한 청년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는 “사람들은 우리를 랑가라고 부르면서 차별해요.”라며 체념 섞인 불만을 드러냈다. “여기에는 랑가가 많아요. 그래서 저도 여기 빨랑카에 정착했죠. 우리는 여기에서 일하고, 서로 돕고, 가정을 꾸려요. 그게 우리가 사는 방식이에요.” 그의 말처럼 그들은 귀환하여 법적으로 앙골라 시민권은 회복했을지 모르지만, 사회적으로는 여전히 ‘외부인’으로 남는다. 국경을 다시 넘어 고향을 찾았지만, 사람들의 마음과 일상 속 인식의 경계는 여전히 견고하다. 이 점에서 귀환민의 삶은, 생존을 위해 낯선 땅에서 새로운 터전을 찾아야 하는 난민의 삶과 크게 다르지 않다.
|
|
|
+ 아프리카의 난민과 귀환민: 발생 원인과 특징, 그리고 문제점
|
|
|
귀환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난민이 어떻게, 그리고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지부터 짚어야 한다. 1951년 유엔의 「난민 지위에 관한 협약」 제1조 제2항은 난민을 민족·종교·국적 등의 특정 신분이나 정치적 의견 때문에 박해받을 위험이 있으며, 자국의 보호를 받지 못하거나 받기를 원하지 않는 사람으로 규정한다. 동 조항이 제정된 것은 난민 문제가 개별 국가 차원을 넘어, 국제사회 전체의 공동 대응이 요구되는 의제라는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중요성을 환기하기 위해 유엔은 매년 6월 20일을 ‘세계 난민의 날(World Refugee Day)’로 제정하고, 2001년부터 시행해 오고 있다. 이날은 본래 아프리카연합(AU)의 전신인, 아프리카단결기구(OAU)가 1975년부터 ‘아프리카 난민의 날(Africa Refugee Day)’을 지정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아프리카 난민 문제가 국제사회의 현실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프리카에서 난민 현상은 매우 복합적인 양상을 띤다. 개인 차원에서는 정치적 박해나 민족·종교적 차별로 인해 난민이 발생하며, 집단 차원에서는 전쟁, 무력 충돌, 정권 교체, 공공질서 붕괴 등으로 대규모 이주가 발생한다. 여기에 유럽 식민주의의 잔재와 탈식민 과정에서의 정치적 불안정이라는 아프리카의 역사적 특수성이 더해진다. 이러한 맥락을 반영해 아프리카통일기구(OAU)는 1969년 협약에서 외세의 침략, 지배, 공공질서의 붕괴를 포함한 보다 넓은 범위의 난민 개념을 채택했다.
아프리카의 난민 문제는 이처럼 정치·사회·경제·환경 요인들이 얽히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예컨대 기후 위기가 난민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정치 불안과 지역 분쟁이 촉발되면서 새로운 난민이 발생하는 악순환을 낳는다. 그 결과 망명과 귀환, 그리고 또 다른 망명이 다시 되풀이되는 인구 이동이 전개된다.
이처럼 복잡한 아프리카의 난민 이동에도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이 나타난다. 첫째, 다공성(多孔性) 국경으로 인한 통제의 어려움이다. 식민시대 유럽이 인위적으로 획정한 아프리카의 국경은 행정적 통제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국경을 가로지르는 언어·혈연·문화적 연계는 난민 발생과 이동을 더욱 가속화한다. 둘째, 난민과 귀환민의 이동은 지역 간 정치·경제적 불균형 속에서 권력과 자원의 분배와 깊게 얽혀 있다. 이로써 난민의 이동과 귀환은 종종 지역 사회의 갈등을 촉발하는 원인이 된다. 셋째, 난민 이동은 순환적 성격을 띤다. 난민을 수용하던 국가가 다시 난민을 배출하는 ‘발생?수용?발생’의 (역)유입 패턴과, 귀환민이 다시 난민이 되는 ‘난민?귀환민?난민’의 순환 패턴의 반복 때문이다.
위와 같은 구조적 특성 때문에, 아프리카에서 난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은 난민 문제의 해법을 주로 자발적 귀환에 두고 있다. 그러나 난민 발생과 순환 과정의 특징들이 귀환민의 재정착을 크게 제약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다공성 국경은 분쟁의 확산을 초래하며 접경지역 귀환민의 안전과 생계 기반을 취약하게 만든다. 또한 반복되는 난민 유입은 수용 공동체 내에서 일자리, 주거, 사회 서비스 등 한정된 자원을 둘러싼 경쟁을 심화시킨다. 이에 대한 불만은 귀환민을 ’귀환민을 가장한 불법 이주민’, 이른바 ‘가짜 귀환민’이자 랑가와 같은 외부인으로 낙인찍는 행위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 결과 귀환민은 정치·경제적 기회 박탈과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며, 새로운 이동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 놓인다. 따라서 아프리카의 귀환민을 이해한다는 것은 곧 그들의 고독한 투쟁과 망명의 순환을 직시하는 일이다. 이런 문제의식은 아래에서 다룰 앙골라와 모잠비크 사례에서 더욱 명확히 드러난다.
|
|
|
DRC와 앙골라의 국경 지역은 인구 이동이 빈번하며, 난민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수용하기도 하는 이중적인 성격을 보인다. 양국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는 바콩고(Bakongo)인*은 콩고 왕국(Kingdom of Kongo)의 후손이라는 강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친족, 언어·문화, 역사, 정치·경제적으로 긴밀한 유대 관계를 형성해 왔다. 특히, 이들 지역은 1960년대 이후, 서로의 독립운동을 지원하거나 내전 시 특정 세력을 후원하면서 국경을 넘나드는 긴장과 연대를 동시에 만들어냈고, 그 과정에서 난민은 시기마다 양방향으로 유출·유입되었다.
*현재의 앙골라, DRC, 콩고공화국, 가봉, 남부 카메룬 일대에 분포한 민족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이들은 역사적으로 콩고 왕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
|
|
앙골라에서 DRC로의 난민 이동은 독립운동 이전부터 이미 시작되었다. 앙골라를 식민 지배하던 포르투갈의 강제 노역을 피하거나, 앙골라 북부의 저임금 커피 농장 대신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을 주던 DRC의 설탕 공장을 찾아 국경을 넘는 앙골라인들이 많았다. 무엇보다도, 1961년 앙골라 북부에서 시작된 독립운동으로 인한 포르투갈의 박해가 심해지면서 DRC 수도 킨샤사(Kinshasa)로 앙골라 난민 이동이 가속화되었다. 이 시기에 DRC 내 앙골라-바콩고(Angolan-Bakongo) 공동체는 가파르게 증가하며 정치·사회적 존재감을 확대해 갔다. 또한, 1975년부터 2002년까지 27년간 이어진 앙골라 내전은 전쟁과 평화 협정을 반복하며 더 많은 난민을 발생시켰다.
앙골라 난민들은 DRC 사회에 빠르게 편입되었는데, 독립운동으로 국경이 차단된 이후 이러한 경향은 더 뚜렷해졌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DRC의 수용 공동체 내부에서는 점차 앙골라 난민들을 차별적인 별명으로 칭하며, 경멸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람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앙골라 난민과 그 후손은 언젠가 귀환하겠다는 꿈을 버리지 않았으며 고향에 대한 기억과 그리움을 추억하는 것은 그들의 일상이 되었다.
앙골라 내전 종식 후 10년, 국제사회는 2012년을 기점으로 앙골라의 정치적 불안이 다소 안정되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앙골라의 전쟁 난민을 수용하던 여러 국가는 그들의 난민 지위를 공식적으로 종료했고, 많은 이들이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으로 귀환하게 되었다. 당시 DRC의 앙골라 난민 8만여 명 가운데 절반이 넘는 4만 3천여 명이 자발적 귀환 의사를 밝혔다. 그들의 귀환 결정에는 평화 구축과 경제 발전에 대한 기대, 앙골라에 남아 있던 가족들의 권유, 그리고 무엇보다도 고향에 대한 향수가 큰 영향을 끼쳤다.
앙골라로 귀환한 이들의 재정착은 결코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정착지로 지정된 지역의 파괴된 도로와 교량, 곳곳에 매설된 지뢰는 그들의 안전과 이동의 자유를 제한했고, 의료·교육과 같은 사회 서비스는 턱없이 부족했다. 귀환민에게 할당된 토지는 경작이 어려운 불모지에 가까워, 생계를 새로 일구는 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다. 행정적 문제 또한 정착을 어렵게 했다. 신분증 발급은 지연되기 일쑤였고 DRC에서 받은 학위나 자격증은 앙골라에서 인정되기 어려웠으며 일정 수준 이상의 교육을 받은 이들에게조차 노동시장의 진입 장벽은 높았다. 또한, 귀환 과정에서 ‘가짜 귀환민’이 섞이는 현상은 실제 귀환민들에 대한 사회적 불신을 심화시켰다. 여기에 내전 시기의 민족·정치적 대립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채 남아 있어, 그들을 배신자로 의심했고 그들의 사회 통합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이처럼 앙골라 사례는 본국으로의 귀환이 종종 새로운 갈등을 동반하며, 귀환민을 다시 이동의 기로에 서게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
|
모잠비크 북부 카부델가두(Cabo Delgado) 지역은 최근 수년간 지속된 무장단체의 테러와 폭력으로 인해 대규모의 난민이 발생한 곳이다. 2017년 이후 이 지역에는 ‘마차바보스(Machababos)*’라 불리는 극단주의 이슬람 무장세력이 마을을 습격하고 민간인을 납치·살해하면서 지역사회는 극심한 공포에 휩싸였다. 이들의 공격은 지역 주민들의 일상을 무너뜨렸다. 학교와 종교 시설뿐만 아니라 민가까지 무차별적으로 그들의 공격 대상이 되었고, 주민들은 언제 어디서 폭력 사태가 일어날지 모른다는 불안에 시달렸다. 그 결과 수십만 명이 난민으로 전락해, 모잠비크 북부와 접하고 있는 탄자니아로 국경을 넘어 탈출하기 시작했다.
*‘젊은이들’이라는 뜻으로 카부델가두 지역에서 활동하는 무장 세력을 말한다. |
|
|
모잠비크 북부 주민들은 탄자니아의 공용어인 스와힐리어(Swahili)를 사용하고, 무슬림 인구의 비중도 높다. 여기에 두 지역 간 오랜 교역과 혼인 관계가 더해지면서, 이 지역은 긴밀히 연결되어 왔다. 따라서 이들에게 국경은 단지 행정적 장치에 불과했다. 그러나 테러 이후 난민 이동은 두 지역 간의 관계를 변화시켰다. 수천, 수만 명에 달하는 난민이 단기간에 탄자니아 남부 국경 마을로 유입되어 수용 공동체는 압박감을 호소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탄자니아 정부는 점차 모잠비크 난민 유입을 자국 안보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난민 행렬 속에 위장한 무장 세력이 섞여 들어올 수 있다는 불안, 테러 세력이 국경을 넘어 탄자니아의 체제 전복을 시도할 수 있다는 우려 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탄자니아 정부가 모잠비크 난민을 잠재적 위험으로 간주하고 색출하고 통제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하게 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탄자니아는 모잠비크인의 망명 신청을 거부하고 난민을 귀환시키기 시작했다.
카부델가두로 돌아간 귀환민은 또 다른 생존 투쟁을 맞이했다. 그들의 마을은 이미 잿더미가 되었고, 경작지와 어장은 약탈당하거나 파괴되어 생계를 다시 일으킬 기반이 남아 있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이들이 생존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다시 떠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남은 이들의 삶 역시 다시 망명을 떠난 이들의 삶과 다를 바 없었다. 그들은 임시 거주지에서 살아가며, 언제 다시 닥칠지 모르는 테러의 위협을 감내해야만 했다. 테러 세력은 여전히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2025년에도 그들의 공격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모잠비크 난민의 귀환은 일상적인 삶으로의 회복이라기보다는, 또 다른 형태의 난민으로 전환되는 고단한 현실을 드러낸다. |
|
|
앙골라와 모잠비크의 귀환민 사례는 귀환 그 자체가 그들의 안녕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귀환이 ‘돌아옴’과 ‘회복’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귀환을 어떻게 준비하고, 어떻게 대비하며,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 난민과 귀환민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그리고 국제사회가 책임을 어떻게 분담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점점 더 시급한 과제로 다가온다. 폐허가 된 마을과 무너진 공동체, 그리고 여전히 이어지는 폭력과 차별 속에서 귀환은 또 다른 난민화의 시작이 된다. 따라서 귀환을 난민 문제 해결의 종착점으로 보는 시각은 이러한 복잡한 현실을 간과하고 외면하는 것이다.
국제사회는 난민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에 비해 귀환 이후 그들의 삶에는 상대적으로 덜 주목한다. 귀환의 실패와 불안정은 언제든 제도와 국경을 넘어 재현될 수 있고, 그 파장은 생각보다 훨씬 우리와 가까운 곳에 있다. 실제로 몇 해 전, 앙골라 귀환민이 한국에서 다시 난민 신청을 한 사례가 있었다. 관광비자로 한국에 온 그는, 귀환 이후 이어진 폭력과 차별이 결국 그를 또다시 고향 밖으로 내몰았다고 항변했다. 이 사례는 ‘난민?귀환민?난민’과 같은 순환 문제가 더 큰 사회적 비용을 불러오는 탈지역적인 문제라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지금 국제사회의 과제는 귀환민 문제를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시각에서 재조명하고 이를 뒷받침할 지속 가능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일이다. |
|
|
김계리
현)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학부 강사 현)고려대학교 학부대학 강사 현)한국외국어대학교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 강사 현)포르투갈·브라질학회 총무이사 |
|
|
06750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58, 외교타운 4층 한·아프리카재단
· TEL : 02-722-4700 · FAX : 02-722-4900
kaf@k-af.or.kr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